facebook pixel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귀, 코, 목과 호흡기에 대한 궁금증 그리고 생활 속에서 몰랐던 유용한~ 꿀팁과 지식을 전달하는 이비인후과 주치의! 닥터 이엔티입니다. 
소위 만두귀라고 불리는 이것!

사실은 치료해야 하는 질환인 것 알고 계시나요? 

운동선수(레슬링, 격투기)의 경우 지속적마찰압박으로 혈종 섬유화되며 변형되는데요. 

오늘은 귓바퀴 부분이 붓는 질환, 이개혈종(otohematoma)의 치료와 최근 많이 사용되는 비수술적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l 귓바퀴 부종 - 이개혈종의 진단, 증상

귀가 붓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도 외상 후 귓바퀴가 붓는 경우 "이개혈종 (otohematoma, auricular hematoma) "이라고 일컫습니다.

이개혈종은 귀의 연골과 피부가 본래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사이에 있는 " 연골막 (perichondrium)"이라는 구조물이 외상 등으로 인하여 연골과 다소 느슨해지며 연골과 벌어진 사이에 피나 조직액 등이 고이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연골막과 연골 사이에 생기는 조직액이나 혈액의 고임이 원인이기 때문에, 귀 중에서도 연골이 없는 부분 (귓볼 부분) 은 붓지 않고, 연골이 있는 부분만 붓는 것이 특징이 됩니다. 
(반대로 봉와직염 (cellulitis) 과 같은 경우라면 귀 전체가 붓고 아프고 발적이 발생하게 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왼쪽이 봉와직염 , 오른쪽이 이개혈종이 의심되는 상태입니다.


@ https://www.slideshare.net/MedicineAndHealthResearch/ent-emergency

용어정리
* 봉와직염 – 진피와 피하 조직에 나타나는 급성 세균 감염증의 하나로 세균이 침범한 부위에 홍반, 열감, 부종, 통증이 있는 것이 특징



l 이개혈종 치료를 제때 하지 않으면?

이개 혈종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연골막 연골이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연골로혈액 공급이 줄어들고 주변에 괴사조직이나 섬유조직 등이 발생하면서 귀 모양이 변화되게 됩니다. 
이를 Cauliflower ear라고 불리고, 만두귀라고도 하는 귀 모양이 이와 같은 원인에 의한 것으로, 반복적인 외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Tidsskrift for den Norske laegeforening 137(2):105-107




l 이개혈종의 여러 치료 방법 중 널리 쓰이는 흡인 & 스테로이드 주입술

이개혈종의 치료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고, 그 중 널리 쓰이는 방법 중 간편하면서도 효과가 좋은 치료 방법으로 "혈종의 흡인 (aspiration)  후 해당 공간에 스테로이드 주입술"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국내에서 많이 연구된 치료 방법이기도 하고, 치료 시 귀 바깥으로 압박을 하는 방법보다 시간도 짧게 걸리고 통증도 적으면서 좀 더 효과적인 것이 장점입니다. 


@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8) 139, 115-119


위 연구 결과를 함께 보실까요?

스테로이드 주입술을 시행 받은 그룹은 좀 더 일찍 완전 회복이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테로이드 주입술은 이개혈종이 오래 지속되지 않은, 즉 발생한지 얼마 안 된 그룹에서 좀 더 치료 효과가 좋습니다.


@ Laryngoscope 129: February 2019

파란색은 이개혈종이 오래 지속되지 않았던 그룹으로, 좀더 회복속도도 빠르고 이후 재발도 적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개혈종이 발생하면 빨리 이비인후과를 내원해 진료를 받고 치료받는 게 좋겠죠?


l 흡인 & 스테로이드 주입술의 비용

이개혈종의 흡인 및 스테로이드 주입술은 건강보험에서 인정하는 검사 술기로, 다음과 같은 술기 비용이 발생합니다.




의원급의 경우 61,290원  발생하며, 이 중 보험 적용이 되면 일반적으로 금액의 30%의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진찰료가 초진인지 재진인지에 따라 총 진료 금액을 달라지게 됩니다. 

병원 / 종합병원은 비용이 다르며, 보험 적용 시 자기 부담금이 50%이기 때문에 금액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l 스테로이드 : 트리암시놀론 – 주의사항

흔히 사용하는 스테로이드 용액트리암시놀론(triamcinolone) 성분포함된 약제입니다. 

기존 연구에서는 최대 1.5 ml (약 60 mg Triamcinolone) 주사하는 형태로 치료를 하였습니다.
(보통 흡인한 혈액량과 동일 양을 주사하고, 1.5ml 이상인 경우에는 1.5ml까지만 주사)

이와 같은 치료는 굉장히 효과적인 치료가 되는데, 한 가지 주의할 사항은 triamcinolone의 반복 주사는 일반적으로 큰 부작용은 없지만 일부에서는 스테로이드 약제의 부작용으로서 Cushing's syndrome 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물론 성형외과나 피부과와 같이 피하에 트리암시놀론을 주사하는 경우, 그리고 병변이 넓어서 다량을 주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연골막과 연골 사이의 공간과 같이 체내 흡수가 한꺼번에 이뤄지지 않고 서서히 흡수되는 영역에서는 피하 주사보다는 그 부작용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래도 반복적인 주사로 트리암시놀론 용량 120mg 이상을 짧은 기간에 맞을 경우에는 부작용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니터링이 꼭 필요합니다. 


때문에 40mg 씩, 그리고 2주 간격으로 최대 3회에 걸쳐 치료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부작용 발생을 최소화하며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쿠싱 증후군 발생에 대한 리뷰 저널

 


l  마치며

갑자기 귀가 붓는 증상이 생겼을 때, 염증이 생겼거나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혈종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하게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너무 오랜 기간 경과 후 치료를 시행하면 효과가 떨어진다는 점도 명심해야 하며, 반복될 경우 귀의 변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생기면 늦지 않게 이비인후과 병의원을 방문하여 치료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럼 저는 다음번 또 다른 건강 콘텐츠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닥터 이엔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 닥터이엔티 블로그 >

 

 


3분 건강 체크
내 건강상태체크하세요
필리가 여러분께 꼭 필요한 
영양소추천해 드립니다



 

채팅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