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까망약사입니다. 코로나 19로 마스크 착용이 생활화되면서 불편함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실외 마스크 착용은 의무 조정이 되었지만 여전히 실내에서는 마스크를 써야 하죠.
그.런.데 마스크를 쓸 때 코와 입에 어쩔 수 없이 밀착되기 때문에 큰 문제가 생기곤 합니다.
바로, 너무 가까운 나의 숨 속 냄새, 구취가 난다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담배나 잦은 음주, 약물 부작용, 수면 시 무호흡증(입으로 숨 쉬는 경우) 입안 건조감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만성 자가면역질환 '쇼그렌 증후군'에 걸린 경우 외분비샘에 림프구가 침범해 침, 눈물 분비가 감소되며 눈과 입이 건조해 지는 상황이 생깁니다.
마지막으로 치아 관리자 되지 않아 생기는 치아우식증(충치)는 단골 구강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구강관련 위생 질환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눠봤는데요.
구강질환, 원인은 무엇일까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원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구강질환의 종류
구강은 앞쪽 입술부터 입안 뒤쪽 인두와 연결되는 입안 공간으로, 구강 내에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말합니다. 크게 구강위생 질환과 구강 통증, 염증질환으로 나뉩니다.
● 구강 위생 질환
1. 구취
구취의 90% 이상은 구강위생이 문제입니다.
· 구취의 원인은?
구취는 그람 음성 혐기성 균이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생기는 휘발성 황화 화물에 의해 발생합니다.
(H2S, CH3SH, CH3)2S 등)
· 설태 제거의 중요성
플라크는 혀에도 붙습니다. 특히 후방의 1/3 영역은 해부학적으로도 복잡하며, 타액의 세정작용도 잘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양치 시 치아뿐만 아니라 혓바닥도 꼼꼼하게 닦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혀 클리너를 사용해 매일 닦아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참고자료 = 설염증상 >
2. 구강 건조증
구강 건조증은 침이 모자라 입안이 마르는 증상으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타액 분비가 줄어들거나 완전히 중지되는 ‘구강 건조증’은 입안이 건조하거나 쓰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 하루 성인의 타액 분비량은 보통 1.5L인데요.
· 타액분비는 수분과 전해질, 당단백질과 항균 효소를 포함해 윤활유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 구강 건조증이 생기게 되면 연하 곤란, 구내염, 구취, 구강 칸디다의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구강칸디다 : 칸디다(전균)이 구강의 점막 표면에서 증진하는 질환
<출처: naver 침샘의 구조>
▷ 구강 건조증의 원인 및 임상증상
구강건조증을 유발하는 약물로는 항콜린성 약물, 항히스타민제, 충혈제거제, 이뇨제, 진정제, 항고혈압제, 항파키슨제 등이 있으며, 쇼그렌 증후군, 당뇨병, 우울증, 크론병 등의 질환 등은 구강건조증을 유발하기 쉽습니다. 또한 침샘이 막히거나 염증이 생기는 타석증은 입을 건조하게 하고 침 분비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밖에도 생활 및 식습관 등으로도 구강 건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술, 담배, 카페인은 되도록이면 줄이는 게 좋습니다. 코골이가 심한 분들은 구강호흡 시 입으로 숨을 쉬기 때문에 입이 메마를 수 있기에 수면 시 습관도 잘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3. 충치
충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의 세균성 감염 질환으로 세균들을 함유한 플라크가 치아 표면에 계속 남아 있어 부식됐을 때 나타납니다.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 충치균의 연쇄상구균의 일종
● 충치의 원인 및 임상증상

설탕, 전분 등이 분해되면서 생긴 산에 의해 치아의 법랑질이 손상되어 나타납니다. 충치예방은 플라그를 관리하는 것으로, 올바른 잇솔질과 입안 청결 유지가 중요합니다.
약국 방문 시 본인의 치아 상태나 치과 방문 빈도를 알려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더불어 현재 먹고 있는 약물이나 앓고 있는 질환을 같이 말씀해 주시고, 술, 담배, 카페인 섭취 유무 등을 알려주세요. 그럼 구강질환에 대한 원인을 빨리 알아낼 수 있어, 병의원 또는 약국에서 해결이 가능한지 판단해 드릴 수 있습니다.
1. 구강세정제 일반의약품 추천
구강세정제 일반의약품
알코올은 타액 분비를 감소시켜, 구강건조증을 유발하고 치주질환을 악화 시킬 수 있습니다.
< 출처: 약학정보원 사이트 >
< 출처: 약학정보원 사이트 >
▶ 4급 암모늄제제
: 양전하를 띄고 있어 음전하를 띄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세포막과 결합해 사멸유도
치아 착색 가능성은 있으나 직전 양치질을 하여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인공타액제
: 구강 건조증 1차 선택제, 모두 일반의약품
2. 의약외품 구강 세정제
▶ 미용성 구강세정제 : 보통 멘톨, 민트 등 함유, 알코올 유무
▶ 안티플라크 구강세정제(리스테린액) : 유칼립톨, 살리실산 메틸, 멘톨, 치몰 함유, 미국치과의사협회에서 첫 번째로 인증
▶ 불소함유 구강세정제(가그린액, 센스타임후레쉬액): 플루오르화나트륨은 치아 표면에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치아 에나멜 성분인 플루오르인회석을 형성하여 치아를 강하게 하고 충치를 예방
3. 약국용 치약
▶ 센소다인 오리지널, 후레쉬
· 신경자극을 완화시키는 염화스트론튬
· 치석 제거에 도움을 주는 탄산칼슘
· 예민해진 치아 진정시키는 질산칼륨
· 충치 예방효과가 있는 플루오르화나트륨
+ 실리카
▶ 시린메드F, G, S
· 노출된 상아질을 메우고 손상된 법랑질을 감싸주어 시린 이 증상 개선 효과 있는 인산삼칼슘
· 충치 예방, 플라크 제거에 효과적인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 예민해진 치아 진정시키는 질산칼륨
· 충치 예방효과가 있는 플루오르화나트륨
· 잇몸질환 예방의 비타민E
▶ 잇치
· 항균, 항염 작용이 뛰어난 카모밀레(chamomile), 라타니아(rhatany), 몰약(myrrh)
▶ 부광탁스
· 치약 성분에 포함하여 잇몸질환이나 잇몸출혈을 예방하고, 치태 제거에 효과적인 아미노카프론산 함유
구취, 구강건조증, 충치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는데요.
마무리하며, 생활요법과 증상 별 약 선택 팁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 생활요법
· 하루에 8잔 이상의 물을 마시세요
· 알코올, 유제품, 육류, 당분을 많이 함유한 음식, 커피, 주스 등 피해 주세요.
· 음주나 흡연은 피해주세요.
· 껌을 씹으면 타액 분비도 증가하여 자일리톨 껌을 씹거나 단단한 사탕을 빨아먹는 것도 구강건조증에 도움이 됩니다.
● 구강위생질환 약국 활용 팁
· 구취환자에게는 구강세정제를 권장하며 구강건조증이 있다면 알코올 함유 제품 되도록이면 피해주세요.
· 감기에 따른 증상(후두염, 인두염, 편도염, 치주염, 구내염, 구중 악취 등) 있는 경우 벤제토늄염화물(케어가글)을 함유한 제제를 추천드립니다
· 예방뿐만 아니라 시린 이 예방 및 완화가 필요하다면, 염화스트론튬, 질산칼륨, 또는 인산삼칼슘을 함유한 의약외품 치약을 사용해 보세요.
구강질환의 원인은 정확하게 파악하고, 각각의 증상에 따라 알맞은 세정제를 구매해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용 원문 출처 l 까망약사 블로그
👉까망약사님 블로그 보러 가기 >
구강 질환 및 증상별
약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구강질환 이외에도
필리의 건강 체크 설문을 통해
내 건강을 들여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