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ebook pixel






우리 모두는 자신의 소원대로 이루어지기를 원합니다. 어릴 때 읽은 동화에서는 정말 소원이 다 이루어지는 장면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우리의 원하는 일이 이루어졌을 때, 그것을 성공, 합격, 성취, 출세, 소원 성취 등으로 말합니다. 하지만 실상은 내 생각대로, 내 계획대로, 내가 원하는 대로, 때로는 내 욕심대로 되지 않을 때가 많이 있습니다. 

그럴 때 내 마음이 힘들어져 나락으로 떨어지고, 다시 그 일을 추진하고 싶은 동력을 상실하고, 방황하고 절망해야 할까요? 상담 장면에서 실제 예는 많습니다.

직장 생활을 하다가 구조조정으로 실직한 40대 초반 어떤 남성은 낙심되어 우울증에 빠졌고, 그 이후로 전혀 직장을 구하지 않고 집에만 있으면서 불평과 절망감으로 하루하루를 지냅니다.

15세 어떤 중학생은 친구들과 SNS에서 주고받은 내용으로 힘들고 낙심되어 중학교 과정을 마무리하지 않은 채 자퇴하였습니다.

어떤 청년은 네 번 공무원 시험을 보았지만 자꾸 떨어져서 이제 시험 자체가 힘들어졌고 모든 것을 포기하고 무기력한 상태로 지냅니다. 




원하는 일이 제대로 안될 때 실패한 느낌, 절망감, 우울함이 찾아오는 것은 어쩌면 정상입니다. 하지만 그런 상태에서 회복되지 않은 채 오랜 시간을 보내거나 평생 힘들어한다면 큰일입니다.

원하는 일이 제대로 안되어 절망감이 심한 경우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실패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어서 충격이 큰 탓입니다.

예를 들어, 학창 시절에 공부를 잘했고, 좋은 대학에 한 번에 진학하여 우수하게 졸업했고, 취직시험에 한 번에 합격하여 전문 분야에서 잘나가는 어떤 분에게 취약한 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한 번의 실패’입니다. 팀장 승진 누락이라는 ‘한 번의 실패’가 그 사람을 송두리째 흔들어 놓아, 절망감과 낙심에 빠지게 하고, 정상 기능이 어렵고 우울하게 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크고 작은 실패에 대한 경험들을 통해, 우리는 다시 일어나는 방법을 터득하였습니다.

실패에 대한 경험들이 오히려 우리가 웬만한 일에도 흔들리지 않게 도왔습니다. 또한 실패를 계기로 다시 시작하는 연습을 하며 탄력성을 얻었습니다.

그런 시각으로 본다면, 스포츠 경기에 직접 참여하거나, 내가 응원하는 어떤 스포츠 팀의 열성 팬이 되는 것은 좋은 습관일 것입니다. 승리와 패배를 직,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다시 회복하는 탄력성을 길러주기 때문입니다.

‘심적인 탄력성(mental resilience)’은, “어렵고 도전적인 삶의 경험들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과정과 결과”를 뜻하는 말이며, 이는 “개인의 내적, 외적 요구사항에 대하여 정신적, 정서적, 행동적유연성대처능력을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탄력성이 있으면 “삶의 하강에도 불구하고 역경을 이겨내고, 다시 돌아오게 되고, 성장하게 됩니다.”
(https://www.everydayhealth.com/wellness/resilience/
)

둘째로, 자신이 생각하는 기준/원칙/방식/규범 그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흔히 무언가 열심히 하여 ‘똑 부러진다!’는 말을 듣는 분들에게 나타나는 모습입니다.
뭐든지 거의 완벽하게, 철저하게, 정확하게 해내려는 마음은 좋지만, 일이나 사람이 본인 생각하듯이 척척 움직이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다면 실망감도 커집니다.

한 예로, 커플 상담 중인 어떤 분은 결혼 대상자에게 ‘20년 계획’을 작성해 오길 원하였습니다.

외적인 조건, 환경, 집안 등이 아니라 ‘20년 계획’이 없는 사람과 결혼할 수 없다고 합니다. 



아마도 그분은 지금껏 계획대로 살아오는 데 성공적이었나 봅니다.
하지만 세상 일이나 사람들, 심지어 미래의 일까지 내가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을까요?

그렇게 안 된다고 힘들어한다면 그 마음은 ‘욕심쟁이’입니다. 이런 ‘욕심쟁이’들이 있을까요?

상담 장면에 오시는 분들 가운데 이렇게 자기의 생각대로, 계획대로, 기준대로, 방식대로 일이나 사람들이 움직이지 않는다고 거슬려 하고 힘들어하는 분들이 요즈음 점점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세상만사 내 뜻대로 되겠냐?”이라는 노래 가사처럼 마음을 내려놓아야 합니다.

모든 일이 내가 원하는 대로 안 돌아간다고 힘들어하기 보다, 다른 사람의 입장을 존중하고, 서로 다양성을 인정하고, 나와 같지 않은 다른 사람의 생각/감정/행동방식이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허그맘허그인 상담 문의 1600-6226

 


 

몸이 건강해야 마음도 건강하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내 몸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내게 필요한 영양소를 
추천받아 보세요




 

채팅상담